티스토리 뷰
안녕하세요
이번에는 하늘을 날고 있는 벌의 사진을 한 페이지로 모아봤습니다.
꿀벌은 꿀벌속(Apis)에 속하는 곤충의 총칭으로, 꿀벌과에 속한다. 꿀벌은 이름 그대로 꿀을 저장하고 생산하는 벌로, 꿀벌로부터 채취한 꿀을 벌꿀이라고 부른다. 인류는 아주 오래전부터 야생 꿀벌로부터 꿀을 채취해 먹었으며, 이는 기원전 13,000년 전의 암각화에서도 드러난다.[출처 필요] 꿀벌은 배의 굵은 황갈색 가로띠(그리고 황백색의 잔털로 된 가로띠도 있다.)의 모양을 보고 쉽게 구별할 수 있다.
꿀벌은 수많은 육각형 방들이 있는 벌집을 건설하여 군체를 이루어 살며, 한 군체는 대다수의 불임성 암벌인 일벌과 나머지의 생식벌인 수벌, 그리고 유일하게 알을 낳을 수 있는 개체인 여왕벌로 이루어져 있다. 일벌과 여왕벌은 독침을 가지고 있으나 수벌은 독침이 없다. 일벌의 독침은 천적을 만나면 사용한다. 하지만 거꾸로 된 가시가 있어서 사람 같은 포유류나 조류들에게 침을 박으면 침이 내장과 함께 빠져나가면서 죽는데, 사실 이 거꾸로된 가시는 곤충들에게 침을 박을 때 쉽게 빼려고 있는 것이다. 그런데 포유류나 조류에게는 그게 역효과를 내는 것. 여왕벌의 독침은 다른 여왕벌과 싸울 때만 사용한다. 거꾸로된 가시가 없어서 침을 쏜다고 내장이 빠져나가 죽지 않는다.
식물의 수정과 벌꿀의 채집을 위해 사육하기도 한다. 일반적으로 벌꿀을 얻기 위해 사육되는 것은 유럽 원산의 양봉꿀벌이 주종이지만 재래종 및 야생도 있다. 천적으로는 말벌과 개미, 사마귀, 거미, 잠자리 등이 있다. 특히 말벌은 벌꿀과 애벌레, 꿀벌을 약탈하고 포획하기 위해서 꿀벌의 집을 습격하는 가장 무서운 적이다. 꿀벌은 무리를 지어서 말벌과 전투를 벌이는데, 양봉꿀벌과 달리 토종꿀벌은 봉구를 만들고 꿀과 꽃가루를 모으러간 꿀벌들까지 모두 불러모아 전투를 벌인다. 하지만 적이 많은 경우 중과부적으로 패하는데, 이럴 때는 여왕벌이 남은 꿀벌들을 이끌고 다른 벌집을 차린다한다. 말벌을 많은 꿀벌들이 에워싼 후, 날개 근육을 움직여 온도를 높여서 죽이는 방법이 봉구이다. 최근 연구로 온도와 고농도의 이산화탄소를 내뿜어 질식시키는 방법으로 천적인 말벌과 싸우는 자기 보호방법이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 꿀벌의 벌집에 침입해 피해를 주는 벌집꼬마밑빠진벌레와 꿀벌부채명나방도 천적이다.
예로부터 벌꿀, 로열 젤리, 밀랍, 프로폴리스 등을 얻기 위해 사육되어 왔으며, 대한민국에서는 축산법상 '가축'으로 명시된 유일한 절지동물이다.
생물 분류
계: 동물계
문: 절지동물문
강: 곤충강
목: 벌목
아목: 벌아목
상과: 꿀벌상과
과: 꿀벌과
아과: 꿀벌아과
족: 꿀벌족(Apinini)
속: 꿀벌속(Apis)
Linnæus, 1758
위의 비디오는 꿀벌의 행동을 음악과 함께 담은 것입니다...
이상은 하늘을 나는 꿀벌(Honeybee)에 관한 사진이었습니다...
이상은 하늘을 나는 호박벌(Bumblebee)에 관한 사진이었습니다..
Thanks for Watching....
#꿀벌 #호박벌 #비행 #곤충 #하늘을 나는 벌 #벌비행 #꿀벌비행 #순간포착 #탐론 90mm #캐논 600D
'포토그라피 에피소드 > 곤충사진(Insects)' 카테고리의 다른 글
[#꽃등에] Eristalis Tenax(Dronefly) 꽃등에 사진모음입니다.... (0) | 2018.11.24 |
---|---|
파리(Blowfly)사진 모음입니다.. (0) | 2018.11.21 |
[매크로] 꽃에 앉은 나비사진모음 (캐논 600D + 탐론 90mm렌즈) (2) | 2018.11.10 |
꼬리박각시(Hummingbird Hawk Moth)에 관한 포스팅입니다.. (0) | 2018.11.07 |
아주 찍기 어려운 사진, 하늘을 나는 나비사진(Butterfly Inflight Photos)을 공개합니다.... (0) | 2018.11.06 |